12 C
Seoul
2024년4월28일 일요일 1:30:51
Home자료이명박집권4년 민생파탄 백서

이명박집권4년 민생파탄 백서

이명박집권4
민생파탄 백서




자주통일과민주주의를위한코리아연대




자주통일과민주주의를위한코리아연대(코리아연대)
이명박집권
4
년만에
남코리아의 경제와 민생이 최악의 지경에 이른 참담한
현실을 개탄하며 그 구체적 실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널리 공개한다
.




1.
이명박정권과
747
공약(空約)




자칭
‘경제대통령’이 등장한지
4
년만에
남코리아 경제와 민생은 파탄에 이르렀다
.



이명박정권이
출범하면서 내건 핵심경제공약 ‘
747’(
경제7%성장,
1
인당국민소득4만달러,
세계경제대국7)
2011
년기준
경제성장률
3%,
국민소득
2
759달러,
국내총생산(GDP)기준
세계
15
위권으로
목표치에 크게 부족하게 되면서 자체 폐기되었다
(
연합뉴스,
2012.2.22).



2011년기준
가계부채가
900
조원이
넘었고 연간 이자만
60
조원규모이다.
올해
가계부채는
1000
조원을
목전에 두고 있다
(YTN,
2012.3.23).
국가채무는
2010

400
조원을
넘겨
2012

현재
474
조원대이다.
국가부채증가속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평균의
11.6
배수준이다(머니투데이,
2009.10.5). 2010
년말기준
국가직접채무
,
보증채무,
4
대공적연금책임준비금부족액,
통화안정증권잔액,
준정부기관·공기업부채
등을 더한 사실상의 국가부채는
1848
4000억원을
넘어섰다
(
뉴시스,
2011.10.4).



2008~2012
감세정책으로 소득세
25
8893억원,
법인세
35
732억원,
부가가치세
4
701억원,
기타
17

236억원
등 총
82
2693억원의
세수를 포기하였다
.
2008
년이후
3
년간
OECD
평균법인세율인하폭은
0.3%
인데,
이명박정부는
3.2%

내렸다
(
한겨레,
2012.2.23).
감세,
출자총액제한
폐지 등 ‘기업프랜들리’정책으로 기업소득은
급증하였지만 ‘낙수효과’를 볼 것이라던 개인소득은
하락하였다
.
절대빈곤층이
급증하였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양극화가 심화되었다
.
노동소득분배율은
급격하게 하락하였다
(
민주노총,
2011.7.29).



이명박정부는
복지예산에 대하여 ‘역대정부중 최고치’라고 자평하지만
자연증가분과 주요 법정의무지출예산 등을 고려하면
증가율은 이전보다 훨씬 낮다
(
연합뉴스,
2011.10.9).
기획재정부가
내놓은 「
2011

국가경쟁력보고서」에 따르면 사회복지에 대한 재정지출이
1.7%

OECD
평균
7%

미치지 못하였다
.
조사대상
OECD
34
개회원국중
33
위이다(주간한국,
2012.1.13).



연간
일자리가
20
3000,
여성일자리가
6
6000
증가하여 연간 일자리
60
만개,
여성일자리
30
만개
공약에 훨씬 미치지 못하였다
(
오마이뉴스,
2012.2.19). 4
년평균
청년실업률은
7.7%
이다.
늘어가는
농가부채로 농민자살이 이어졌고 높은 등록금으로
인한 생활고와 청년실업 등으로 연간
230
명의
대학생이 목숨을 끊고 있다
(
연합뉴스,
2011.4.11).




2.
노동자와
비정규직




비정규직이
크게 증가하였다
.



통계청에
따르면 이명박정부가 출범한
2008

3

당시 비정규직노동자는
563
만명이었다가
2011

8
월기준으로
599
5000명으로
늘었다
.
전체
임금노동자
1700
만여명
1/3
이다.



정부통계와
달리 노동계나 정치권에서는 비정규직을
830
만명으로
보고있으며 보수언론조차 이를 부인하지 않는다
(
조선비즈,
2011.8.3).
정부는
비정형상용직과 비정형임시일용직을 비정규직으로
,
정형상용직과
정형임시일용직을 정규직으로 본다
.
이에
대해 한국노동사회연구소는 정형임시일용직은
비정형근로자에 비해 근로조건이 열악하고 언제든
해고될 수 있는 비정규직으로 규정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

기준으로는 실질적인 비정규직이 전체 임금노동자의
1/2

해당하는
830
만여명으로
집계된다
.
이는
OECD
평균
비정규직비율
33%

2
배에
달하는 수치이다
(
파이낸셜뉴스,
2011.7.3).

비정규직
1000
만시대가
된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
프레시안,
2009.2.16).



이명박정부4년간
정규직과 비정규직간의 임금격차가 커졌다
.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1

8
월기준
비정규직의 시간당임금은
8236
원으로
정규직의
57.2%
수준이다.
이를
월급으로 환산하면 비정규직월급은
134
만원으로
정규직
238
만원의
절반수준이다
.
상여금을
받는 비정규직은
38%

임금노동자 전체
65%

비해 훨씬 적고
,
퇴직금수혜율도
비정규직이
38.4%,
임금노동자
전체
64.7%

격차가 크다
(
뉴시스,
2011.11.7).



비정규직임금비중은
2008
세계경제위기이후
하락추세이다
.
정규직임금을
100
이라
하였을 때 월평균임금기준으로
2007

50.1%(

8
월기준),
2009

47.2%,
2010

46.9%
등으로
지속적으로 하락하였다
.
시간당임금기준으로
보더라도
2007

51.1%,
2008

50.6%,
2009

48.4%,
2010

48.3%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
미디어오늘,
2011.8.3).



비정규직의
사회안전망도 취약해 비정규직이 체감하는 빈곤의
정도가 단순 임금격차를 넘어선다
.
2011

3
월기준
임금노동자 전체 사회보험
(
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가입률은
60~69%
인데
반해 비정규직은
32~37%

그쳤다
.



정규직임금의
절반으로 가계를 꾸려나가야 하는 비정규직은 정규직과
동일한 공공서비스요금을 부담하여야 한다
.
여기에
높은 물가상승률과 사교육비 부담은 비정규직의 상대적
박탈감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된다
(
뉴시스,
2011.11.7).



노동소득분배율이
급격히 하락하였고 실질임금인상률이 하락
,
정체되었다.



전체
국민소득에서 노동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인 노동소득분배율은
1996

62.6%
에서
2000

58.1%,
2006

61.4%,
2010

59.2%

하락하였다
.
노무현정부때
어느정도 회복되었지만 이명박정부 들어 다시 추락한
것이다
(
경향신문,
2011.12.12).



노동소득분배율의
감소는 그만큼 노동자의 소득이 기업의 영업이익에
비해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는 의미이다
.
기업이
잘되어야 국민들에게 그 성장의 열매가 돌아간다는
‘낙수효과’는 없었다
(
한겨레,
2012.1.17).



실질임금인상률은
2008
년과
2009

연속해서
-0.5%

줄어들었고
2010
년에는
0.5%
상승에
그쳤다
.
명목임금을
소비자물가지수로 나눈 뒤
100

곱해 산출하는 실질임금은 실질구매력을 나타내는
임금으로 물가상승효과를 제거한 실질적인 임금을
의미한다
.



실질최저임금인상률도
이명박정부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해
2010
년에는
-0.2%

기록하였다
.
물가상승률이
높아진 반면 임금상승률이 낮아지면서
2000
년이래
가장 낮은 실질임금인상률을 기록하고 있다
(
미디어오늘,
2011.8.3).


저임금계층이
확대되면서 임금불평등이 심화되었다
.



시간당임금을
기준으로 저임금계층은
2007

23.3%
에서
2011

28.1%
까지
증가하였다
.
2011

3
월기준
중위임금
(
시간당
8635
)
2/3

시간당임금
5757
원미만을
저임금계층으로 분류하였을 때 전체 임금노동자
1707
만명중에서
479
만명(28.1%)
저임금계층이다
.



정규직은
13
명중
1
,
비정규직은
2
명중
1
명이
저임금계층이다
.
2011

법정최저임금인 시간당
4320
원미만
노동자는
204
만명(12%)
달한다
.
법정최저임금미달자비율도
2000

8

4.2%
였다가
지속적으로 상승해
2007

이후
12%
대의
높은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
-0.2%

실질최저임금인상률마저도 적용받지 못하는 노동자비율이
12%
라는
의미이다
.
2008

3

상위
10%

시간당임금은 하위
10%

4.86
배였는데
2011

3
월기준
5.27
배까지
확대되었다
(
미디어오늘,
2011.8.3).



고용의
양과 질 모든 측면에서 저하되었다
.



15세이상
경제활동인구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인 공식실업률은
2008

3.2%
에서
2011

1~6
월기준
3.8%
까지
늘어났다
.
반면
취업준비생과 구직포기자 등을 포함한 실질실업률은
2008

6.1%
에서
2010

7.6%
까지
2
배이상
늘어났다
.



15세이상
생산가능인구중에서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인 고용률은
2008

59.5%
에서
2011

1~6

58.6%

유지되고 있다
.



2010년기준
OECD
회원국중에서
남코리아의 연간노동시간은 
2193
시간으로
1
위를
차지하였고
OECD
평균인
1749
시간에
비해
444
시간이나
더 많았다
(
미디어오늘,
2011.8.3).



2011
3

임금노동자의 평균근속년수는
5.12
년이며
1
년미만
단기근속자가 전체의
35%

달하였다
.
비정규직은
2
명중
1
명이상(
55%)

1
년미만의
근속자이다
(
민주노총,
「노동자
경제지표를 통해 본 이명박정부
4
년」,
2011.7.29).




3.
농민과
농가부채




농가인구
300
만명선이
붕괴되고 농촌해체와 농가인구노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1
년기준
농가인구는
296
만여명이며
2012
,
2013
년에는
각각
289
만명,
219
만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추정된다
.
남코리아
전체 농가인구추이를 보면
1970

1442
만명에서
2000

403
만명,
2010

306
만명,
그리고
2011
년에는
300
만명선
아래로 떨어졌다
.
농가인구에서
65
세이상
비율은
2011

36.2%

2010
년보다
1.3%
상승하였다(연합뉴스,
2012.2.2).



이명박대통령의
대선공약인 ‘농가부채동결법’의 제정은커녕 농가부채
증가로 농민생활파탄이 급속히 촉진되고 있다
.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농가부채는 농가당
2008

2578
6000원에서
2010

2721
만원으로
증가하였다
.
2010
년기준으로
농가부채는 농가평균소득
3212
1000원의
84.7%

달한다
(
연합뉴스,
2011.10.9).



농민의
부채종류는
2009
년에
비해
2010
년에
은행을 통한 것이
2.2%,
사채는
9.6%
늘었다(농민신문,
2011.4.18).
특히
20~30
대농민의
부채규모가
7813
만원으로
60
대농민
2509
만원의
3
,
70
세이상농민
911
만원의
8
배에
달하였다
.
또한
특용작물농가부채가
6510
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자유무역협정
(FTA)
발효
이후 가장 타격받을 축산농가부채
6103
만원이었다(YTN,
2011.9.16).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2009
년기준
농가
7.65%,
어가
8.6%

부채규모가
1
억원이
넘어 농가의 농업경영난이 얼마나 심각한가를 보여주고
있다
.
부채가
없는 농가와 어가는
2008
년기준으로
각각
29.4%,
18.4%

불과하였다
(
연합뉴스,
2009.9.9).



2011
8
월기준
농어업인 금융채무불이행자는 농업인
1
1783,
어업인
1
2882명으로
2
4665명이다.
2008

3
8,
2009

2
3605,
2010

2
104명으로
감소되다가
2011

들어
22.7
%나
급격히 증가하였다
(
뉴시스,
2011.9.18).



농촌지역
소득양극화와 도농간 소득격차가 심화되었다
.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2010

농가평균소득은
3212
1000원이었다.
농가
상위
20%
미만의
평균소득은
7731
8000,
20~40%
미만
3663
8000,
40~60%
미만
2417
5000,
60~80%
미만
1579
4000,
80~100% 660
1000원이었다.
농가평균
상위
20%
소득은
하위
20%
소득의
11.7
배나
되었다
.
도농간소득격차도
더욱 뚜렷해졌다
.
2010

농가평균소득은 도시노동자가구평균소득의
66.8%
밖에
되지 않는다
.
도시노동자가구평균소득에
비해 상위
20%
농가평균소득은
88.1%,
하위20%농가평균소득은
33.9%

불과하였다
(
세계일보,
2011.10.9).


농가소득중
농업소득의 비중이 떨어지고 있다
.



농민의
실제 농업소득은 전체 농가소득의
1/3

불과하다
.
나머지
2/3

농업외 소득
,
이전소득,
비경상소득
등이다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012

농가당 농업소득이
1103
만원으로
2011

1184
만원보다
6.8%
줄어들어
농업소득률이 농가소득의
37.1%

불과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
2006

농업소득은 농업외 소득
(1003
7000)보다
많았으나
2007
년부터
4
년내리
농업외 소득이 농업소득을 초과하고 있다
(
농민신문,
2012.2.6).



농민들의
자살이 늘고 있다
.



농민들은
구제역
,
사료가폭등,
소값폭락
등으로 빚에 허덕이다 자살로 생을 마감하고 있다
.
쇠고기협상에
항의하다 끝내 축산업을 비관하며 축산농민
(
영광,
2008.5)

자살하였다
.
4
대강사업으로
피해를 본 농민
(
김해,
2009.12)

자살도 잇따랐다
.
구제역으로
한우 수십마리를 잃은
50
대여성농민(강화,
2010.4),
채무와
생활고를 비관한
40
대농민(정선,
2010.5),
안면도
태풍피해로
60
대농민(태안,
2010.9)

가슴아픈 자살농민의 사례는 끝이 없다
.
2008
년기준
경찰청자료에 따르면 매년 농민자살자는
1000
명이
넘는다
.
매일
3
명의
농민이 자살하고 있는 것이다
.




4.
청년실업과
대학등록금
,
청소년사교육




청년실업자가
100
만명을
넘어섰다
.



통계청에
따르면
2012

2
월기준
전체실업률은
4.2%,
20~29

청년실업률은
8.3%
이다(노컷뉴스,
2012.3.14).
청년체감실업률은
이보다 훨씬 높다
.
현행
정부고용통계방식은 취업 혹은 실업 상태를 ‘경제활동인구’로
집계한다
.
취업준비자,
구직포기자,
졸업을
미룬 취업무관심자는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어
아예 통계에서 제외된다
.


2012
2

현재
20
대인구
623
5000명중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
·
집계된
청년인구는
228
9000명이다.
이중
상당수가 사실상의 청년실업자이다
.
2011
년기준
취업준비생은
75
2000,
구직포기자는
21
1000명이다(한국경제,
2012.2.19,
이데일리,
2012.3.21).



2011
12

현대경제연구원보고서 「청년체감실업률
20%
시대의
특징과 시사점」에 따르면
2011

1~10
월기준
청년체감실업률은
22.1%
이다.
정부통계보다
3
배가량
높은 수치로 청년
5
명중
1
명이
사실상의 실업자인 셈이다
(
매일경제,
2011.12.11).



반값등록금공약은
전혀 실현되지 않았다
.



2010
사립대등록금은 평균
754
만원이었다(국민일보,
2011.11.3).



2011
반값등록금문제가 전사회적 쟁점이 된 후에도 등록금인하는
0~2%
대에
그쳤다
.
쟁점이
안된 대학원등록금의 경우 사립대학은 오히려
3~5%
인상된
데가 많았다
(
한국일보,
2012.2.18).



2011
OECD
교육지표에
따르면 남코리아의 국내총생산
(GDP)
대비
공교육비민간부담률은
2.8%

11

연속
1
위를
기록하였다
.
남코리아
국공립대학
·
대학원의
연평균등록금은
5315
달러로
미국
(6312
달러)
다음으로
높았다
.
사립대
연평균등록금은
9586
달러로
미국
(2
2852달러)
이어
2
위를
차지하였다
.
반면
정부가 민간에 보조하는 학생장학금비율과 학자금대출비율은
각각
6%,
5.4%

OECD
평균
11.4%,
8.9%

절반수준이었다
(
한국경제,
2011.9.13).



이명박정부의
반값등록금 대선공약
(
公約)
공약
(
空約)
되었다
.
저소득층
무상장학금과 근로장학금 예산은 오히려 줄었고
무이자대출
,
등록금완전후불제
등 현실적 대안들은 철저히 배제되었다
.
정부가
실시한 취업후학자금상환제도
(ICL)

학점제한
,
5.8~6%

고리와 군복무
·
미취업기간에도
부과되는 이자 등으로 오히려 부담이 되었다
(
오마이뉴스,
2011.6.13).



이월적립금은
쌓이는데 등록금은 올라가고 있다
.



2011
11

감사원의
113
개대학
감사결과에 따르면 대학들이 매년
187
억원의
·
결산
차액을 등록금으로 충당하였다
.
대학들은
예산안 작성시 지출은 늘려 잡고 등록금외 수입은 줄여
잡아 등록금인상의 근거를 만들어냈다
.
매년
등록금의
12.7%
가량이
부당하게 인상된 것이다
(
연합뉴스,
2011.11.3).



매년
수백억원의 교비가 집행되지 않고 이월적립금으로
쌓였다
.
등록금이
가장 비싼 이화여대의
2010
회계년도기준
누적적립금은
6568
억원을
상회하였다
.
홍익대
5537
억원,
연세대
4528
억원,
수원대
2972
억원,
동덕여대
2555
억원,
청주대
2535
억원,
고려대
2424
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
이월적립금
상위
10
위대학들의
2011
년연평균등록금은
816
만원이었고
대부분 인하율이
5%

안되었다
.
이는
109
개대학
평균인하율
4.8%
에도
못미치는 수치이다
(
머니투데이,
2012.2.1).



대학생들이
매년 수백명씩 자살하고 있다
.



교육과학기술부,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2008
년에
332
,
2009
년에
249
명의
대학생이 자살하였다
.
자살원인중
학업과 취업문제만
2008
년기준
138
명으로
42%

달하였다
(
연합뉴스,
2011.4.11).


사교육비의
양극화가 심각하다
.



2011
·
·
학생의 전체 사교육비규모는
20
1000억원이었다.
2010
년에
비해
8000
억원
감소하는 등
2
년연속
3%

감소율을 보인 이유는 그만큼 학생수가 줄었기 때문이다
.
2011

학생
1
인당
월평균사교육비는
24
만원이었다(MBN,
2012.2.17).



한국은행이
발표한 「
2010

가계금융조사
(
부가조사)」에
따르면 도시노동자가구중에 소득 상위
20%

5
분위의
생활비대비 사교육비비중은
30.5%

6.0%

1
분위(하위20%)
5
배가
넘었다
.

100
만원이상
사교육비를 지출하는
5
분위계층이
15.2%
였고
1
분위는
2.4%

그쳤다
.
2011

월소득
100
만원미만인
저소득층의 월평균사교육비는
6
800원에
불과하였다
.
월소득이
700
만원이상인
고소득층가구의 사교육비는 학생한명당 월평균
44
만원으로
저소득층사교육비의
6
배가
넘었다
(
연합뉴스,
2012.2.17).



청년실업과
학부모의 등록금
·
사교육비부담은
적자가계와 금융채무불이행자 증가의 결정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
한경비즈니스,
2010.8.11).




5.
자영업자의
파산




통계청에
따르면
2012

1
월말
현재 자영업자수는
547
3000명이다.
종업원
없이 혼자 일하는 자영업자는
392
만명으로
전체 자영업자의
71.6%
이고
무급가족종사자까지 합한 자영업종사자는
654
8000명에
달한다
.
2008
년기준
전체 ‘취업인구’의
31.3%

차지하며
OECD
평균
15.8%

두배에 달한다
(
이데일리,
2011.10.26).



자영업자수는
2008

이후 다소 감소하였지만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
50
대이상
고령층자영업자의 가파른 증가세 때문이다
.
2011

10
월기준
통계청
,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50
대이상
고령층자영업자가 사상최대인
310
만명을
넘어섰다
(
한국일보,
2011.11.17).



직장에서
내몰린 임금노동자들은 자영업외 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다
.
수도권자영업자의
61.8%

임금노동자였다가 자영업자로 옮겨갔고 이중
76.9%

비자발적 요인으로 자영업을 선택하였다
.
이들은
주로 음식점이나 미용실
·
호프집
등 생활밀착형분야에 몰리고 있어 동네상권에서의
경쟁이 치열하다
.
그리고
대부분이 정상적인 자영업을 유지하지 못하고
‘근로빈곤층’으로 전락한다
(
내일신문,
2011.8.11).



자영업자의
재무건전성이 더욱 악화되었다
.



통계청의
2011
년말
전국
8700
가구대상의
표본조사결과에 따르면 월소득이
82
만원뿐인
생계형자영업자가
100
만명에
달하였다
.
도시자영업자
하위
20%

월평균소득은
82
5350원에
불과하여 자영업자의 소득양극화가 심화되었다
(
경향신문,
2012.2.29).



통계청,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공동으로 수행한 「
2011

가계금융조사」에 따르면 자영업자의 평균경상소득은
5048
만원이고
원리금상환액은
1082
만원이었다.
100
만원을
벌면 빚갚는데만
2010

16
만원,
2011

21
만원이
쓰였다
.
자영업자의
평균부채는
2010

7132
만원에서
2011

8455
만원으로
18.6%

늘었다
.
가처분소득대비
금융부채비율은
159.2%

2010
년보다
14.1%
급등하였다.
가처분소득대비
원리금상환액비율은
2011

26.6%

2010
년보다
5.9%
상승하였다(연합뉴스,
2011.11.13).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1

11
월기준
자영업자대출잔액이
157
9000억원으로
중소기업대출잔액
464
2000억원의
33.9%

달하였다
.
2011

자영업자대출연체율은
2010
년말에
비해
0.2%
상승한
1.06%

가계대출연체율
0.75%
보다
높았다
(
한겨레,
2011.12.25).



자영업자는
·
폐업을
거쳐 실업자로 전락한다
.



대표적인
생계형영세자영업인 외식업의 현황은 자영업자의
위기를 가장 극명하게 보여준다
.
한국외식업중앙회에
따르면 폐업식당수는
2009

2
9000여곳에서
2010

4
7000여곳으로
늘었다
.
2011

상반기에만
2
6615
가게가 문을 닫았다
.
한국외식업중앙회는
연간
5
만개이상
식당이 폐업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휴업식당수는
2009

14
9000여개,
2010

25
1000여개,
2011
년상반기만
12
7172개였다(국민일보,
2012.1.30).



국세청
『국세통계연보』에 따르면
2007~2009

폐업한 국세청신고자영업자
257
9888명중
59.3%

152
8894명이
3
년이내에
폐업하였다
(
한겨레,
2012.3.23).



정부는
2012
년부터
자영업자고용보험을 실시하였다
.
1
년이상
보험료를 내고 적자
,
매출액감소
등으로 폐업한 자영업자의 경우에만
3~6
개월동안
77
~1155000원의
실업급여를 지급한다
.
지난
2
27
고용노동부는 시행 한달만에 가입자
2200
명을
돌파하였다고 발표하였다
.
실상은
50
인미만
종업원을 고용하는 자영업자
350
만여명중
0.06%

불과하며 가입자들도 상대적으로 형편이 나은 사업주였다
.
대부분의
자영업자들에게는 매달 납부해야 하는 보험료조차
부담스러운 현실이다
(
한국일보,
2012.2.27).



자영업체의
매년 개업과 폐업의 수는 각각
60
만개와
55
만개로,
끊임없는
파산영락의 전형적인 경우에 해당한다
(
뉴시스,
2012.3.14).




6.
중소기업과
부도




중소기업의
현금유동성이 더욱 악화되었다
.



중소기업청에
의하면
2009

남코리아 전사업체
306
9400개중
중소기업은
306
6484,
대기업은
2916
개로
중소기업이
99.9%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
중소기업종사자는
1175
1022명으로
전산업종사자
1339
8497명의
87.7%
이다.



중견기업,
중소기업의
보유현금과 현금성자산이 급감하고 있다
.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사협의회에 따르면
2011

9
월말기준
코스피에 상장된
12
월결산법인중
자산규모비교가 가능한
612
개사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총액은
52
2180억원으로서
전해연말보다
3.39%
감소하였다.

현금성자산감소율이
80%

넘긴 곳은 대부분 중견 및 중소기업이었다
(
동아일보,
2012.2.6).



중소기업의
자금줄이 막혀있다
.



경기침체의
장기화와 신용도의 저하로 인하여
,
중소기업
중 부도위험이 큰 업체는 회사채나 주식의 발행 등
직접금융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은 엄두를 못내는
상황이다
(
한국일보,
2012.3.18).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1

전체중소기업의 자금조달액은
443
6000억원이었다.
금융권대출액이
441
1000억원으로
99.4%
였고
회사채나 주식발행 등을 통한 자금조달액은
2
5000억원으로
0.6%

불과하였다
(
한국일보,
2012.3.18).
중소기업들의
대출연체율 증가로 주요은행들이 조선
,
해운,
건설,
부동산개발업종
등 침체가 예상되는 ‘위험업종’에 대한 대출을
축소하기로 결정하였다
(
디지털타임즈,
2012.1.15).
특히
올해는 지난
2009

중소기업들이 자금조달을 위해 발행한
3
년물
회사채들의 만기가 도래하여 중소기업의 줄도산이
예상되고 있다
(
동아일보,
2012.2.6).



중소기업의
부도가 많다
.



한국은행,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2009

부도업체수는
1998
개였다.
자산
70~200
억원인
중소기업의 부도율이
3.18%

자산
1000
억원이상
기업의 부도율
1.53%

2
배를
넘었다
(
이데일리,
2012.3.15). 4
대강사업을
통한 경제활성화를 호언하던 이명박정부
4
년간
건설업종부도율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
지난
3
15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부도율 및 회수율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2009,
2010

건설업종부도율이
8.09%,
7.83%

2002

1.79%,
2006

5.26%

비해 급증하였다
.
2010

기업평균부도율
3.23%

2.5
배에
달하였다
(
파이낸셜뉴스,
2012.3.15).


대부분의
소상공인들이 심각한 경영난에 허덕이고 있다
.



중소기업청에
소상공인사업체는
268
5856개로
전사업체의
87.5%

차지한다
.
소상공인종사자는
521
7922명으로
전체의
38.9%
이다.



2012
3

중소기업연합회
,
전국소상공인단체연합회가
발표한 「소상공인 경영상황조사」에 따르면 소상공인
10
명중
9
명의
체감경기가 어렵다
.
최근
1
년간
경영수지흑자인 소상공인의 수는
7.6%

불과하였다
.
51.9%

현상유지에 급급하였고
40.5%

적자로 위태로왔다
.
소상공인의
48.5%

자기사업영역에 진입한 대기업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대표적으로
기업형수퍼마켓
(SSM),
창고형할인점포
등이 지역
,
골목상권을
장악하면서 도소매업소상공인들의 입지가 심하게
흔들리고 있다
(
이데일리,
2012.3.26).



2010
소상공인진흥원 조사에 따르면 소상공인의 월평균순이익은
100
만원이하가
30.8%
였고
적자 혹은 무수입만 무려
26.8%
였다.
소상공인의
70%
이상이
전년대비 매출과 순이익이 감소하였다
.
소상공인의
과반수가 월평균순익이
100
만원이하로
최소생계조차 유지하기 힘든 실정이다
.
소상공인사업체의
영업기간은
1~5
년미만
29.2%,
5~10
년미만
28.9%,
10~20
년미만
26.7%
이다.
창업
5
년이내에
30%

쓰러지고 평균
10
년을
넘기지 못한다
(
연합뉴스,
2010.11.3).




7.
시민과
신용불량
,
3
(,
세금·물가·부동산)




가계부채가
증가하고 생계형대출이 늘어났다
.



통계청
「가계동향과 인구총조사」를 토대로
1990~2010

기간을 분석해보면 빈곤층비중은
7.1%
에서
12.5%

2

증가한 반면 중산층은
75.4%
에서
67.7%

감소하였다
.(
매일경제,
2012.3.22).



2011년말기준
가계부채가
912
9000억원을
넘어섰다
.
노무현집권5년간(2003~2007)
가계부채가
192
7000억원
증가한데 비해 이명박집권
4
년간(2008~2011)
무려
247
6000억원이
증가하였다
.
지난
4
년간
연평균가계부채증가율은
8.2%

연평균경제성장률
3.1%

크게 앞질렀다
(
이데일리,
2012.4.2).



개인의
가처분소득대비 가계부채비율은
157.6%

OECD
회원국평균인
135%
보다
22.6%
높다.
독일
97.5%,
프랑스
99.0%

비하여 높은 것은 물론 경제위기로 휘청대는 이탈리아
88.5%

2
배에
달한다
.
가처분소득대비
가계부채비율의 증가폭은
28.2%

캐나다
·
프랑스·이탈리아·영국·독일·미국
OECD
주요8개국과
비교해서도 가장 높다
.
2008~2011
년까지
은행권의 연평균가계대출증가율은
5.81%
였고
저축은행은
11.08%,
신용협동조합과
새마을

금고는 각각 19.20%,
20.54%
였다(국민일보,
2012.3.6).



최근
고물가로 인한 생활비 증가로 생계형대출이 대폭 늘고
있다
.
2012

1
월기준
은행과 제
2
금융권
가계대출액중 주택대출을 제외한 기타대출잔액은
247
9266억원으로
2011

231
5221억원보다
16
4000억원이
늘었다
(
경향신문,
2012.4.4).



중산층의
금융상황이 크게 악화되었다
.



고소득층개인워크아웃(채무조정)신청자(연체90일이상)
급증하였다
.
신용회복위원회에
따르면 월소득
150
만원이하인
저소득층개인워크아웃신청자는
2010

6
8038(88.01%)에서
2011

6
5323(84.95%)으로
감소하였다
.
반면
월소득
150~300
만원인
신청자는
2010

8893
(11.50%)에서
2011

1
1036(14.36%)으로
증가하였다
.
월소득
300
만원이상
고소득층신청자는
377
명에서
480
명으로
27.3%
증가하였다.



사실상
금융채무불이행자로 될 위기에 처한 프리워크아웃신청자
(
연체30~90)
2010
년에
비하여
2011

2
배가까이
증가하였다
.
저소득층프리워크아웃신청자는
2010

5015
명에서
2011

9766
명으로,
소득
150~300
만원
신청자는
2054
명에서
4324
명으로,
고소득층신청자는
213
명에서
302
명으로
늘었다
.



자영업실패와
퇴직 등으로 인한 은퇴연령신청자의 금융채무불이행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
2011

50
세이상개인워크아웃신청자는
1
8342명으로
전체개인워크아웃신청자
7
5850명의
24.2%

차지하였다
(
연합뉴스,
2012.2.9).



매년
1
만명의
대학생이 신용유의자
(
신용불량자)
전락하고 있다
.



한국장학재단
자료에 따르면 대학생학자금대출로 인한 신용유의자는
2011
년기준
3
2902명이다.
2008

1
250,
2009

2
2142,
2010

2
6200명으로
매년
1
만여명씩
늘고 있다
(
뉴시스,
2012.3.26).



2011
신용회복위원회에 개인워크아웃을 신청한
7
6839명중
29
세이하가
6535
명으로
전체의
8.5%
이다.
전체
학자금대출자
136
3751명중
연체자는
11
841명이다.
전체
대출액은
8
7065억원,
연체잔액은
5255
억원이다.
학자금대출연체자수는
2008

4
682,
2009

5
3008,
2010

6
2829명으로
역시 매년
1
만여명씩
늘고 있다
.
2011
년에는
6
월말
현재 이미
6
4774명을
돌파해
2010

수치를 넘어섰다
(
서울경제,
2012.2.21).



간접세부담이
높아지고 고물가가 지속되고 있다
.



남코리아의
조세부담률은
19.7%

OECD
34
개회원국평균
24.8%

비하여
5%
낮았다.
그러나
소득분배효과가 큰 직접세
(
소득세·법인세·종합부동산세
)
보다
소득분배효과가 낮아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간접세의
비중이 높아졌다
.
전체
국세수입중 간접세비중은
2008

48.3%,
2009

51.1%,
2010

52.14%

3
년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
조세일보,
2012.1.4).



고물가의
지속으로 가계부담이 증가하였다
.
노무현정부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연평균
2.9%

반면 이명박정부
4
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은
3.6~4%
대를
기록하여 실질경제성장률
3.1%

앞질렀다
(
내일신문,
2012.3.20).



역대최고의
전세가상승률을 기록하여 세입자들이 비명을 지르고
있다
.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지난
4
년간
전국아파트매매가는 경제위기여파로
7.99%
상승에
그쳤지만 전세가는
37.09%
상승하였다.
상승률은
서울은 매매가
1.41%,
전세가
37.09%,
수도권은
매매가
-1.31%,
전세가
31.86%,
5
대광역시는
매매가
33.69%,
전세가
43.74%,
지방은
매매가
36.51%,
전세가
42.33%

기록하였다
.
김영삼정부시절
집권
4
년동안
전국 아파트가와 전세가상승률은 각각
16.56%,
34.55% ,
김대중정부는
-8.64%,
17.92%,
노무현정부는
19.49%,
5.89%
였다.
전세가상승률이
30%

넘어선 것은 김영삼정부이후 처음이다
(
문화저널21,
2012.2.27).


이는
이명박정부가 각종 규제를 푸는데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
다주택자들에게
부과되는 종합부동산세 과세기준을
6
억원에서
9
억원으로
상향조정하였고 재건축관련규제도 대부분 없애거나
완화시켰다
(
머니투데이,
2011.9.7).




8.
사회적
약자와 복지축소




2010
12

이명박대통령은 복지지출이 전체 재정의
28%

차지하니 “이제 대한민국이 복지국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자랑하였다
.



실질적인
복지관련예산은 줄어들었다
.



복지관련지출액은
2008

68
8000억원(26.2%),
2009

80
4000억원(26.6%),
2010

81
2000억원(27.7%),
2011

86
4000억원(28%),
2012

92
6000억원(28.5%)이다.
복지관련지출의
절대증가액은 현정부출범 이전
3
년간
19.2
조원,
이후
3
년간이
17.5
조원으로
오히려 감소하였다
.



정부예산이나
GDP

증가하듯이 복지분야예산이 증가하여야 당연하다
.
노무현정부시절인
2006~2008

복지관련예산증가율은 연평균
11.5%
인데
반해
2009

10.2%,
2010

8.9%,
2011

6.2%

하락하였다
.
GDP
대비
공공복지지출비중
(
보건·복지·노동분야)
2009

7.5%,
2010

7%,
2011

6%
대로
떨어졌다
(
한겨레,
2010.12.23).
지난
4
년간
평균
7.3%

불과하며
OECD
30
개회원국평균
18.6%

절반이하이며 최하위권
29
위이다(메디컬투데이,
2011.3.2).



이명박정부의
‘복지예산’증가는 착시현상에 불과하다
.



정부가
운용중인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인 디브레인
(dBrain)

각부처의 복지와 관련된 예산을 ‘헤쳐모여’시켜
복지예산으로 재분류
,
통합시킨다.
가령
국방부의 군인연금지출이 군인노후복지로 분류된다든지
교육과학기술부의 대학생근로장학금지원사업이
대학생복지로 된다든지 하는 식이다
.
이러한
사업들은 국회에서 복지분야예산으로 통합심의되지
못하고
9
개상임위에서
개별심의된다
.
이러한
‘복지관련예산’들이 디브레인시스템을 거쳐
‘복지예산’으로 통합되어 발표된다
.



정부예산은
법령으로 이미 예산규모가 정해진 의무지출사업과
행정부의 예산편성재량권이 적용된 재량지출사업
두가지로 구분된다
.
여기서
국민연금지출같은 의무지출사업은 정부의 복지철학에
근거한 예산편성과 무관한 부분이다
.
이렇게
‘아전인수’격으로 해석되는 경제지표들이 이명박정부의
치적으로 발표되고 있다
(
한겨레21,
2011.12.16).



정부가
무상보육예산부담을 지자체와 시도교육청으로 전가시키고
있다
.



법적으로
학교로 분류되는 유치원은 시도교육청이 학비전액을
부담하고 어린이집
,
가정양육수당
등은 정부와 지자체가 절반씩 부담한다
.
2012
년부터
5
세어린이의
유치원
,
어린이집
공통보육과정인 ‘누리과정’이 도입되었고 내년부터
3~4
세로
확대되지만 보육료는 교육청이 부담한다
.
올해
전체보육예산
6
4570억원의
36.8%

해당하는
2
3794억원만
정부가 부담하며 나머지는 지자체가
2
4424억원(37.8%),
시도교육청이
1
6352억원(25.4%)
떠안아야 한다
(
한국경제,
2012.2.14).



329
전국시도지사협의회는 영유아무상보육확대에 따른
지방재정부담완화대책마련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하였다
.
도지사협의회는
보육사업의 전액 국비사업화를 촉구하면서 “영유아무상보육사업이
이대로 가면 지방재정부담으로
6~7
월이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고 경고하였다
(KBS,
2012.3.29).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는 더욱 후퇴하였다
.



최저생계비가
지역별 생활수준차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중소도시단일기준으로
책정되었다
.
1999

계측된 최저생계비는 도시노동자가구 중위소득의
45.5%

해당하였지만
2008
년에는
도시노동자가구 중위소득의
34.8%
수준으로
떨어졌다뉴스토마토
,
2012.3.2).



2012
장애인관련예산은
1
4176억원으로
전체 복지관련예산의
1.5%,
GDP
대비
0.12%

불과하다
.
최근
5
년간
정부발표 복지관련예산증가율
7.7%

비하여 장애인관련예산증가율은
6.6%
이다(장애인신문,
2012.3.2).



정부는
기초생활보장수급자수가 감소하였다며 최저빈곤층증가세가
둔화된다고 발표하였다
.
기초수급자수는
2008

153
만명,
2009

156
만명,
2011

154
만명,
2012

146
만명으로
줄었다
(
공감코리아,
2010.1.7).
기초수급자가
감소한 것은 본인 소득
,
재산이
최저생계비에 못 미치는데도 엄격한 부양의무자기준으로
기초수급자선정에 탈락한 사람이 대폭 늘었기 때문이다
.
2011
년말~2012년초까지만
13
만명이
탈락되었다
(
서울신문,
2012.2.23).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월 가처분소득이 최저생계비미만인 가구비율을
나타낸 절대빈곤율은
2008

10.4%,
2009

11.1%

상승세를 보였다
.
기초생활보장사각지대의
빈곤층인구는
410
만명이
넘는다
.
이중
기초수급자선정 탈락자만
103
만명이다.
2009~2010

증가한 절대빈곤층인구는
50
만명이다(한국경제,
2011.1.18).



노인절대빈곤율은
37.1%

달하지만 현행 노령연금으로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
내일신문,
2011.12.21).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노숙인수는
2008

4576
,
2011

4403
명이다.
한림대의대
주영수교수가 노숙인쉼터등록자료와 통계청사망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2005
년부터
2009
년까지
하루 한명꼴로
,
매년
300
명가량의
노숙인이 사망하였다
.
사실상
노숙인은 증가한 것이다
(
연합뉴스,
2011.8.21).




9.
FTA

민생파탄




FTA
‘낙수효과’가 서민경제에 나타날지는 의문이다
.



정부는
FTA
발효로
향후
10
년간
GDP
5.7%,
일자리
35
만개
증가효과가 있다고 발표하였다
.
대미수출은
향후
15
년간
연평균
12
9000만달러,
수입은
7
1000만달러
증가하여 연간
5
7000만달러의
무역수지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
뉴시스,
2012.3.14).



FTA발효
즉시 농수산물
636
개품목의
관세가 철폐되었지만 소비자가격인하효과는 미미하였다
.
제한적인
품목
,
크지
않은 내림폭이었다
.
소비자가
느끼는 체감물가는 여전히 높아 이명박정부 임기내
기대한 효과가 나타날지는 미지수이다
(
뉴스토마토,
2012.3.24).



장바구니물가변화가
미미하자 정부는 이마트
,
홈플러스,
롯데마트,
농협유통
4
개사와
관세인하율만큼 농수산물가격을 낮추기로 합의하였다
.
근본적인
유통구조문제해결이 아닌 단기요법에 대하여 정부가
단기간에 성과를 보여주려고 업체들을 압박하였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CBS,
2012.3.23).



대한상공회의소의
보고서 「한미
FTA
활용계획」에
따르면
FTA
발효
후 ‘미국산 수입상품 판매가격을 내릴 것인가’를
묻는 질문에 수입업체의
54%

그렇다고 답한 반면
31.2%

내리지 않겠다고 답하였다
.
가격인하방안에
대해서는 ‘관세인하분만큼 내리겠다’고 답한 업체는
24.4%

불과하였고
75.6%

‘관세인하분중 일부만 반영하겠다’고 답하였다
.
FTA

국내유통시장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칠 시기에 대해서는
발효
1
년이후(59.8%),
발효즉시(23.6%),
발효3년이후(8.6%),
발효5년이후(8.0%)
답하였다
(
머니투데이,
2012.3.5).



농업·농촌분야의
피해는 보다 직접적이다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
FTA
향후
15
년간
농어업생산피해액이
12
2000억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였다
.
축산
7
2993억원,
과수
3
6162억원,
수산
4431
억원
등이다
(
조선일보,
2011.11.23).



전국농민회총연맹부설정책연구소
녀름은 「한
,
-EU,

에프티에이가 농업분야에 미치는 영향」보고서에서
향후
15
년간
농업생산감소액이 연평균
2
9486억원,
15
년누적피해규모는
최소
43
조원으로
전망하였다
.
이에
대하여 농림수산식품부가 반발하자 녀름은 농촌경제연구원
등에서 이미 발표한 자료의 단순합산액만
43
조원이라고
반박하였다
.
정부가
FTA
기대효과를
추정할 경우 간접적인 파급효과까지 포함하는 반면
피해액은 직접피해액만 발표하였다
.
녀름은
정부가 누락한 간접피해액까지 반영하면
43
조원을
넘어선다고 경고하였다
(
한겨레,
2012.3.19).



서민들의
약가부담도 늘어난다
.
FTA
에는
복제의약품
(
제네릭)시판허가와
관련하여 허가
·
특허연계제가
도입되어 있다
.
복제의약품허가신청시
오리지널의약품의 특허권자에게 이를 통보한 후 통보받은
특허권자가 이의를 제기하면 특허분쟁이 해결될 때까지
복제의약품의 제조
·
시판을
유보하는 제도이다
.
가계의
의료비지출은 갈수록 더 증가할 전망이다
(
한겨레,
2012.3.14).




10.
노무현정부와
이명박정부




이명박정부는
노무현정부를 비판하고 성장을 통한 경제활성화를
주창하며 당선되었으나 결과적으로 오히려 후퇴하였다
.



이명박정부
4
년평균
경제성장률은
3.1%

노무현정부의
4.3%
보다
떨어졌다
.
1
인당국민소득도
더 하락하였고 세계은행
(WB)
기준
세계경제순위는
15
위로
1
순위
떨어졌다
.



GDP대비
국가채무비중은
32.68%

노무현정부
27.34%
보다
증가하였다
.
4
년간
가계부채는
247
6000억원
증가하여 노무현정부
5
년간
192
7000억원을
훨씬 상회하였다
.
일자리는
연평균
20
3000명으로
노무현정부
25
3000명보다
적었다
.
절대빈곤율은
11.1%

노무현정부
10.2%

비하여 더 증가하였다
.
노동소득분배율은
59.2%

노무현정부
61.4%

비하여 하락하였다
.



지난
4
년간의
성장은 저조한 반면 가계부채가 많아지고 부의 재분배가
악화되어 절대빈곤자가 크게 늘었다
.


현실은
통계
·
언론보도보다
훨씬 심각하다
.
정부발표
경제지표만으로도 이명박정권은 노무현정권과 비교하여
경제위기에 이어 민생파탄의 정도가 참혹하다
.
경제위기는
세계
·
유럽경제위기와
맞물려 더욱 체질화되고 고질화되어 언제 폭발할지
모르고 민생파탄은 노동자
,
농민,
청년,
자영업자,
중소상공인,
사회적
약자들의 끊임없는 자살행렬로 이어지는 극단적인
상황이다
.



밤이
깊어갈수록 새벽이 가까워지는 법
,
극단적인
민생파탄의 상황은 강력한 민중저항과 급진적인
정치변화를 부르고 있다
.
이명박정권과
새누리당
(
구한나라당)
실정과 무능
,
부패에
맞서는 민중과 시민의 저항이 날로 거세지며 근본적인
전환을 힘있게 추동하고 있다
.
반드시
이명박정권과 새누리당은 총선과 대선에서 또는
민중저항을 통하여 철저히 심판될 것이다
.(2012.4.6
자주통일과민주주의를위한코리아연대)


관련기사
- Advertisement -
플랫포옴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