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정상들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의지를 재천명했지만, 결과물도출에는 실패했다.
EU27개국 중 26개국은 20일 브뤼셀정상회의에서 우크라이나에 보다 포괄적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EU정상 간의 지원 합의를 진행하고 입장문을 발표했다.
입장문에서는 <각국의 역량에 따라 우크라이나의 자위권을 지원해 (우크라이나의) 안전보장에 기여할 준비가 돼있다>고 재확인했다며 러시아를 향해서는 <전쟁을 끝내려는 진정한 정치적 의지를 보이라>고 촉구했다.
그러나 입장문은 친러성향 오르반헝가리총리가 동참하지 않아 만장일치된 공동성명으로는 채택되지 않았다.
헝가리는 2주전 특별정상회의때도 공동성명참여를 거부했다.
우크라이나긴급지원안합의에도 실패했다.
앞서 카야칼라스EU외교안보고위대표는 각국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올해 최대400억유로(약63조5000억원)군사지원안을 지원하자고 제안했다.
하지만 국민총소득(GNI)에 비례해 기여하자는 방식에 부담이 큰 프랑스, 이탈리아 등이 난색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칼라스는 이날 우선 50억유로(약8조원)를 조성해 우크라이나가 당장 필요한 탄약부터 제공하자고 다시 제안했으나, 합의가 도출되지 않았다.
전통적으로 EU가 3월에 여는 정례정상회의에서는 경제의제가 중점적으로 논의되나 우크라이나전종전협상이 급박하게 돌아가고 미국이 유럽안보에서 발을 뺄 것이란 위기감이 커진 만큼 국방·안보 현안이 주요안건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