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미대통령이 11일 압둘라2세요르단국왕과의 회담에서 미에 가자지구를 차지할 권한이 있으며 현재 그곳에 거주하는 팔레스타인인들은 지역내 다른 국가들이 흡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회담직전 기자들을 만나 우리는 가자를 가질 것이다, 그곳은 전쟁으로 황폐해졌다, 우리가 차지하고 유지하며 소중히 여길 것이라고 역설했다.
압둘라2세국왕은 이집트가 제안을 준비하고 있으니 섣부른 결론을 내리지 말자, 모두에게 좋은 방향으로 해결할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미와 지역국가들, 특히 요르단국민들의 최선의 이익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가자지구주민들은 그곳에 머물고 싶어 하지 않는다, 요르단과 이집트 등지에 그들을 위한 땅이 마련될 것이며, 새로운 거주지에서 더 안전하고 행복하게 살게 될 것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최종협상이 마무리되면 모두가 만족할 만한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계획이 인종청소에 해당하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200만명은 그리 많은 숫자가 아니라고 답했다.
이 자리에서 압둘라2세국왕이 가자지구에서 암이나 중병을 앓고 있는 어린이 2000명을 받아들여 치료하겠다고 공언하자 트럼프는 이를 환영하면서도 미가 가자지구를 통제할 것이며, 주민들은 모두 다른 곳으로 이전될 것이라는 입장을 반복했다.
앞서 트럼프는 요르단과 이집트가 가자지구주민수용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양국에 대한 원조를 삭감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반면 이날 회담에서는 굳이 자금지원을 무기로 협박할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돌려세웠다.
전요르단외무장관 마르완무아셔는 트럼프의 계획은 1994년 요르단과 이스라엘 간 평화협정의 핵심원칙을 위반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 문제는 요르단의 존립과 직결되는 사안이기 때문에 미의 경제적 압박이 통하지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요르단은 인구 약1100만명 중 절반이상이 팔레스타인계다. 대규모팔레스타인난민을 수용할 경우 정치적 균형과 정체성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고 판단할수 있다. 요르단왕실은 요르단이 팔레스타인국가역할을 떠맡아야 한다는 <요르단팔레스타인대안국가론>에 강하게 반발해왔다. 왕조의 정당성을 위협하는 요소가 될수 있어서다. 실제 요르단의회는 최근 팔레스타인난민의 정착을 금지하는 법안을 제출한 상태다.